닫기

국학강좌

“흉노, 동호, 선비, 오환, 거란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하여” [2024년 제1회 국학강좌] 안내
관리자 2024-03-02 11:49:05
첨부파일

2024년 제1회 국학강좌

흉노(匈奴), 동호(東胡), 선비(鮮卑), 오환(烏桓), 거란(契丹)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하여

 

사기』「흉노열전에 따르면서기전206년 흉노가 동호(東胡)를 공격한다이때 동북쪽의 대흥안령산맥 일대로 쫒겨갔던 동호(東胡)가 정치적으로 해체되며 선비와 오환이 생겨났고점차 예전 동호의 지역을 다시 차지한다더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 그 동호의 지역에 거란(契丹)이 일어나그 지역을 차지하고 요()란 국가를 세우게 된다

흉노동호선비오환거란 등의 국가를 한국고대사와 관련하여 어떻게 올바르게 이해해야 할까한국고대사를 올바로 인식하고 또 서술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국학연구소가 주관하는 2024년도 제1회 국학강좌는 흉노동호선비오환거란 등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을 살펴보는 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일시 : 2024년 3월 20일 1830

2. 장소 서울시민청 동그라미방(서울시청 지하 2지하철 1호선 및 2호선 4번 출구)

3. 내용 :

1) 사기』「흉노열전에 나타난 동호(東胡)의 위치와 역사적 실체

2) 동호(東胡)에서 선비(鮮卑및 오환(烏桓)의 형성과 그들의 위치

3) 동호선비오환거란의 한국고대사 관련성 검토

*위의 내용을 1명의 발제자가 간단하게 설명하고참여자들이 함께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

4. 참고 사항 :

1) 강좌 관련 자료는 당일 현장에서 나눔

2) 1922년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출간한 국정 역사교과서인 倍達族歷史를 대략적으로 읽고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倍達族歷史에서 선비(鮮卑)와 그 뒤의 거란이 세운 요()를 우리 역사로 서술했는지 검토해보고 오셔서 함께 토론하시기를 청함.

3) 사기』「흉노열전과 倍達族歷史가 필요하신 분은 자료를 미리 요청하시기 바람(자료 신청 메일 주소 linbaishan@hanmail.net ).

4) 국학연구소는 흉노동호선비오환거란 등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을 살펴보는 <국학답사>를 기획하여 2024년 5월 2일부터 6일까지 45일 동안 내몽고의 동호선비오환거란 등의 역사유적에 대한 현지답사를 진행함. 3월 10일까지 답사 참여자를 모집 중이니참여 희망자는 신청하시기 바람(답사 참여 신청 연락처 : 010-8918-1620 임찬경 연구원)

 

[발제자 소개]

국학강좌 주제인 흉노(匈奴), 동호(東胡), 선비(鮮卑), 오환(烏桓), 거란(契丹)의 한국고대사 관련성에 대하여에 대한 발제자는 임찬경 국학연구소 연구원.

임찬경은 인하대학교 연구교수국학연구소 연구원 등을 역임. 1990년대에 중국에 유학하여 고구려 연구로 역사학석사 및 역사학박사 학위를 취득고구려는 물론 우리 민족사와 깊은 관련이 있는 흉노·선비·오환·거란·발해·여진 등과 관련한 북방민족의 기원과 발전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이들 지역에 대한 문헌수집과 현지답사로 연구활동을 진행해옴최근 우리사회의 오래고 뿌리 깊은 역사왜곡 즉 역적(역사적폐)’ 청산 작업을 준비 및 시도하고 있음.

■ 주요 연구 논문

중국 東北史의 肅愼 認識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0)

女神像을 통한 紅山文化 건설 主體 批正(2011)

延邊長城의 現況과 性格(2012),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2013)

이병도 한사군 인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2014)

「『고려도경·삼국사기의 고구려 건국 연대와 첫 도읍 졸본(2015)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2016)

고려시대 한사군 인식에 대한 검토(2016)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2017)

「『수경주를 통한 고구려 평양의 위치 검토(2017)

독립운동가의 고대사 인식 그 계승을 통한 한국 역사학계 적폐청산 과제와 방법(2018)

조선 즉 위만조선과 창해군의 위치에 관한 연구(2018)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대한 하마다 고사쿠의 논문(2019)

고구려 평양 위치 왜곡과 그 극복 방안(2019)

대한민국임시정부 출간 배달족역사(倍達族歷史)의 대종교적 역사관(2019)

612년 고구려-(전쟁에서 요수요동성압록수살수평양의 위치 비정 中國歷史地圖集의 612년 지도 비판 및 재구성(2020)

위만조선(衛滿朝鮮시기의 창해군(滄海郡)과 무제대(武帝臺위치 연구(2022)

서기49년 고구려가 한()의 우북평어양상곡태원을 공격한 전쟁의 실체 분석고구려 평양 위치 왜곡과 그 극복 방안(2022) 

■ 저서 및 역서

중국의 고구려 학자와 연구 종합서술(2007, 공역)

(2007년도중국내 고구려유적 실태조사 보고서(2008, 공저)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2017, 공저)

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 위만조선졸본평양의 위치 연구(2019)

국학과 민족주의(2019, 공저)

독립운동가가 바라본 한국 고대사 독립운동사학의 고대사 인식(2020)

한국 북방 국경의 흐름(2022, 공저)

이전글 “『사기』「조선열전」에 대한 온전한 이해” ...
다음글 2025년 제1회 국학강좌(2025. 2. 21) “읍루(挹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