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연구소 발간 「국학연구」 논문투고 규정
- 제1조 (목적)
- 이 규정은 국학연구소의 학술지 간행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제2조 (학술지 명칭)
- 학술지의 한글 명칭은 ‘국학연구’, 영문 명칭은 ‘Journal of Koreanalogy’로 표기한다.
- 제3조 (발간 횟수 및 발행 시기)
-
- 1) 학술지는 매년 6월 30일, 12월 30일 총 2회 발간한다.
- 2) 원고는 편집위원회에서 연중 수시로 접수한다. 원고 마감은 원칙적으로 발간일을 기준으로 2개월 전(4월 30일, 10월 30일)으로 하나, 별도의 공지를 통해 마감일을 조정할 수 있다.
- 제4조 (투고 자격)
-
- 1) 국학연구소 연구원이나 일반회원(후원회원)이 아니어도, 국학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는 누구나 투고의 자격이 있다.
- 2) 국학연구소의 임원과 편집위원회 및 윤리위원회 위원도 투고할 수 있다. 단, 임원과 편집위원회 및 윤리위원회 위원이 투고했을 때는 그 투고자를 배제하고 엄격하게 논문을 심사해야 한다.
- 제5조 (투고 내용)
-
- 1) 투고 논문의 주제는 국학(國學)과 관련된 모든 학문 계열의 관련 주제여야 한다.
- 2) 투고 논문의 원고는 독창적인 내용이어야 하며, 다른 간행물에 발표되지 아니한 것이어야 한다.
- 3) 투고 논문의 형식과 작성방법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논문 작성 방식」에 따라야 한다.
- 제6조 (투고자의 책임과 의무)
-
- 1) 투고자는 국학연구소의 연구윤리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 2) 투고자는 논문제출 이전에 등을 이용하여 표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표절 문제가 있을 경우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투고 논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3) 투고자는 저작물의 내용이 제3자의 권리를 침해하여 국학연구소 또는 제3자에 대하여 손해를 끼친 경우에는 저자가 전적으로 그 책임을 진다
- 제7조 (원고분량)
-
- 1) 투고논문의 양은 200자 원고지 150매(각주 및 참고 문헌 목록 포함) 이내로 한다.
- 2) 국문요약과 영문요약은 200자 원고지 10매 이내로 작성한다.
- 제8조 (저자표기)
-
- 1) 저자의 성명, 소속, 직위 등을 표기한다.
- 2) 공동연구논문인 경우에는 공동저자의 성명을 모두 기록하며, 연구에 대한 기여도를 반영하여, 왼쪽으로부터 제1저자, 교신저자, 제2저자 등의 순으로 기록한다.
- 제9조 (심사 비용)
- 논문 투고와 함께, 논문 심사에 필요한 비용으로 투고 논문 1편당 5만원의 심사료를 연구소가 정하는 방식으로 납부해야 한다.
- 제10조 (제출 파일)
- 투고자는 논문을 투고할 때, 개인정보를 삭제한 심사용 논문, KCI 논문유사도 검사 결과지, 연구윤리 서약서, 저작권 양도동의서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할때 개인정보수집동의도 하여야 한다.
- 제11조 (제척 및 회피)
- 투고자가 본 연구소의 소장, 편집위원회 및 윤리위원회와 기타 임원의 지위를 갖고 있는 경우에 연구윤리서약서에 이를 반드시 표기하여 제출해야 한다. 편집위원회는 투고자로부터 이와 같은 관계가 확인되었을 경우에, 그 투고자는 반드시 해당 건의 논문심사에서 제척한다.
- 제12조 (재투고)
- 논문심사에서 ‘게재불가’ 판정을 받은 논문일지라도 투고자는 원고내용을 보완, 수정하여 다음 호에 재투고할 수 있다.
- 제13조 (저작권)
-
- 1) 「국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등 모든 글의 저작재산권은 전부 국학연구소로 이양된다.
- 2) 저작재산권 양도 후 저자의 권리행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저작권 양도동의서에 따른다.
- 부 칙
-
- 본 규정은 1988년 1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본 개정 규정은 2024년 7월 6일부터 시행한다.
「국학연구」의 원고작성 방식
모든 투고논문은 다음과 같은 작성 방식에 따라 투고되어야 한다.
- 1. 논문 작성언어
- 논문의 작성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로 작성할 수 있으며, 한자를 섞어 사용할 수 있다. 단, 한국어 외의 다른 언어로 작성한 논문은 반드시 국문요약을 첨부한다.
- 2. 원고분량
- 투고 논문은 200자 원고지 150매(각주 및 참고 문헌 목록 포함) 내외로 한다.
- 3. 작성프로그램 및 제출방법
- 논문은 대중화된 한글문서 작성 프로그램인 <ᄒᆞᆫ글>을 사용하며, 국학연구소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출한다.
- 4. 논문의 체재
-
- 1) 논문의 체재는 제목, 필자명, 목차, 국문요약, 주제어, 본문(머리말·본론·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Key words의 순서로 작성한다.
국문요약과 영문요약에는 각각 주제어(Key words) 5개 이상을 명시해야 한다.
- 2) 항목번호 부여 순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
- (1) 1단계 : 1, 2, 3
- (2) 2단계 : 1), 2), 3)
- (3) 3단계 : (1), (2), (3)
- (4) 4단계 : ①, ②, ③
- 5. 연구비 수혜논문
- 논문에 대한 특별한 설명이나 연구비 수혜 논문임을 밝힐 경우, 논문제목 우측에 별표(*)를 표시하고 구체적 내용을 각주로 밝힌다.
- 6. 외국어 표기
-
- 1) 한문, 기타 외국어를 사용할 경우 한글병기를 원칙으로 한다. 이때 한글을 먼저 쓰고 괄호 안에 해당 언어를 병기한다.
*사례 : 제천(祭天), 고려시대(高麗時代, Goryeo)
- 2) 외국어는 현지발음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한자음독이 자연스러운 경우 한자음독(한자) 형식의 표기를 허용한다.
*사례 : 야기 쇼자부로(八木奘三郞), 영성자산성(英城子山城)
- 3) 한자는 번체자(繁體字) 정자를 사용한다. 단, 현재 중국의 지명이나 저자명 그리고 논문이나 저서 명칭에는 간체자(简体字)를 사용할 수 있다.
- 7. 본문 내 인용
-
- 1) 인용문
- (1) 본문에서의 인용문은 큰 따옴표(“ ”) 속에 쓰고, 본문에서 분리하여 따로 문단으로 구성한 인용문은 큰 따옴표를 쓰지 않는다. 구 단위 이하의 인용문, 강조문은 작은 따옴표(‘ ’) 속에 쓴다.
- (2) 생략을 표현할 때는 말줄임표(…)를 사용한다
- 2) 인용문헌
- (1) 단행본, 문집, 신문, 잡지, 학위논문, 장편소설, 서사시, 전집류의 이름은 겹낫표(『』)로 표시한다.
- (2) 작품명, 논문명(학위논문을 제외한 논문), 설화(문헌 및 구전) 제목, 단행본 속 소제목, 독립된 글의 제목 등은 낫표(「 」)로 표시한다. 더불어, 꺽쇠(< >)도 쓸 수 있다.
- 8. 표와 그림
- 표와 그림, 사진 등 형태로 보여지는 자료는 상단에 일련번호와 제목을 붙이며, 부호 ‘[ ]’ 사용한다.
*사례 : [자료 1], [표 3], [그림 4]
- 9. 각주
-
- 1) 저자명 표기
- (1) 저자명이 동양일 경우 성, 이름 순으로 표기하며 서양일 경우 성(Last name), 이름(First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으로 표기한다. 저자명 뒤에 쉼표를 찍는다.
- (2) 저자가 여럿일 경우에는 3명까지 나열한다. 저자 이름의 순서는 표지에 표기된 순서대로 한다.
- ① 동양 이름의 경우 저자와 저자 사이에 가운데점( · )을 찍는다.
*사례 : 傅斯年ㆍ胡適,
- ② 서양 이름의 경우 첫 번째 저자는 성, 이름, 중간이름 순서로, 두 번째 이후 저자는 이름, 중간이름, 성 순서로 표기한다. 2명의 경우 ‘저자 and 저자’로, 3명의 경우 ‘저자,
저자 and 저자’의 형식으로 표기한다.
*사례 : Deo, S.B, and Jamkkedkar, L.W., Larichev, V., Uriy Khol'ushkin,and I. Laricheva.,
- ③ 저자가 4명 이상일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만 적시하며 동양의 경우 성, 이름 순서로 표기한 후 ‘외’를, 서양의 경우 성, 이름, 중간이름 순서로 표기한 후 ‘et al.’을 쓴다.
*사례 : 임찬경 외, Marx et al.,
- 2) 출전표기
- (1) 원전
- ① 널리 알려진 고전의 경우 저자명을 생략한다.
- ② 서명, 권(또는 책), 연도, 간지(또는 항목) 순으로 하되, 숫자는 아라비아숫자로 표기하고, 간지는 한자를 그대로 살려준다. 원문내용은 큰 따옴표(“ ”)로 표기한다.
편명이 있을 경우 ‘서명-편명’순서로 표기 하되, 서명에는 겹낫표(『』)를 쓰며, 편명 기타 소항목은 낫표(「 」)를 쓰지 않는다.
*사례 : 『三國史記』卷18 髙句麗本紀6 “慕容翰等先至戰 皝以大衆繼之 我兵大敗 左長史韓壽斬我將阿佛和度加 諸軍乗勝 遂入丸都 王單騎走入斷熊谷”
- (2) 단행본
- ① 단행본의 출전 표기는 ‘저자명, 서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서명에는 겹낫표(『』)를 쓴다. 영문으로 된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서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임찬경, 『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 한국학술정보, 2019, 206~208쪽.
- ② 번역서의 경우 ‘저자명, 역자명, 서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 (3) 논문
- ① 연속간행물 속의 연구논문 출전 표기는 ‘저자명, 논문명, 간행물명권호, 발행기관, 발행시기,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간행물명에는 겹낫표(『』)를 쓴다.
하나의 권에 여러 호가 있는 경우 권을 먼저 표기하고 괄호 안에 호를 적는다. 발행기관은 생략할 수 있다.
*사례 : 임찬경,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선도문화』제20권, 2016, 130쪽.
- ②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수여기관 학위명, 제출시기,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겹낫표(『』)를 쓴다.
*최경주, 『독립운동가들 후손들의 교육 수준에 대한 검토』, 국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0쪽.
- ③ 서양논문인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큰 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McCorriston, J., and F. Hole, “The Ecology of Seasonal Stress and the Origins of Agriculture in the Near East”, American Anthropologist 93, 1991, pp.46~69.
- ④ 서양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 제출시기, 인용쪽수’순으로 쓰되, 논문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Bradbury, J.N, Landscapes of Burial? The Homs Basalt, Syria in the 4th-3rd millennia BC., Doctoral dissertation, Durham University, 2011, p.5.
- ⑤ 단행본 속의 연구논문 출전표기는 ‘저자명, 논문명, 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쪽수’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서명은 겹낫표(『』)를 쓴다.
해당 논문의 저자가 단행본 내 적시되어 있는 경우 편집자는 쓰지 않는다. 서양 문헌의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큰 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홍길동, 「조선 중기 서해안 다도해 중의 민란 근거지 개발에 관한 연구」, 『한·중 공동발굴 특별전 한·중 사이 도서의 단절과 교류』,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145~148쪽
- (4) 기사
- ① 기사를 인용할 경우에는 기자명, 기사명, 신문사명, 보도일자, 인용면수 순으로 표기한다. 기사명에는 낫표(「 」)를, 신문사명은 겹낫표(『』)를 쓴다. 인용면수는 생략할 수 있다.
*사례 : 박세미, 「‘홍익인간’의 수난…교육기본법에서 빼겠다는 與의원들」『조선일보』, 2021.4.22., A14면.
- ② 인터넷 기사일 경우 기자명, 기사명, 신문사명, 보도일자, URL 순으로 표기한다. 기사명에는 낫표(「 」)를, 신문사명은 겹낫표(『』)를 쓴다.
*사례 : 김명현, 「국학의 홍익정신, 제주의 평화 선도할 이념」『뉴스제주』, 2021.8.23., https://www.newsjeju.net/news/articleView. html?idxno=366749.
- (5) 인터넷 자료
인터넷 자료를 인용할 경우에는 사이트명, 주제명, URL, 접속일자 순으로 표기한다.
주제명은 낫표(「 」)를 쓰며, 접속일자는 접속일:년월일로 표기한다.
*사례 : e뮤지엄,「무문토기」, https://www.emuseum.go.kr/storySearch?storySeq=1017, 접속일:2022.2.13.
- 3) 인용쪽수 표기
- (1) 동양문헌의 한 쪽 : 123쪽
- (2) 동양문헌의 여러 쪽 : 123~125쪽
- (3) 서양문헌의 한 쪽 : p.123
- (4) 서양문헌의 여러 쪽 : pp.123~125
- 10. 참고문헌
-
- 1)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문헌정보만을 밝히며, 쪽수를 쓰지 않는다.
- 2) 문헌정보의 제시 순서 : 원전은 제일 먼저 적고, 그 다음 단행본, 논문, 발굴보고서, 신문기사 및 기타 자료 등을 발간 시기가 오래된 것부터 제시한다.
- 3) 널리 알려진 고전의 경우 저자명을 생략하며, 서명에는 겹낫표(『』)를 표기한다.
*사례 : 『三國史記』, 『高麗史』
- 4) 단행본은 ‘저자명, 서명, 출판사명, 출판연도(판수가 처음 출판연도와 다를 경우 괄호로 인용한 저서의 판수가 출판된 연도를 적음)’를 표기한다.
서명은 겹낫표(『』)를 쓰며, 번역서는 원저자, 번역자, 저서명, 출판사명, 출판연도 순으로 쓴다. 서명은 겹낫표(『』)를 쓴다. 서양문헌일 경우 서명은 이태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임찬경, 『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 한국학술정보, 2019,
- 5) 연구논문은 ‘저자명, 논문명, 간행물명권호, 발행연도’ 순으로 쓴다. 논문명에는 낫표(「 」)를, 서명은 겹낫표『』)를 쓴다. 하나의 권에 여러 호가 있는 경우 권을 먼저 표기하고
괄호 안에 호를 적는다. 영문으로 된 경우 순서는 동일하되, 논문명에는 큰 따옴표(“ ”)를, 간행물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사례 : 임찬경,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선도문화』제20권, 2016.
- 6) 학위논문은 ‘저자명, 논문명, 학위수여기관 학위명, 발행시기’ 순으로 쓴다. 서양논문의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위명, 학위수여기관, 발행시기’ 순으로 하되, 논문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11. 원고형식
- 원고형식은 다음과 같다.
-
- 1) 용지 종류 : A4(210 x 297mm)
- 2) 용지 여백 : 위 20.0pt, 아래 15.0pt, 왼·오른쪽 30.0pt, 제본 0.0pt, 머리말 15.0pt, 꼬리말 15.0pt(한글 프로그램 최초 설정 상태)
- 3) 줄 간격 : 160%
- 4) 글자 모양 : 장평 100%, 자간 0%, 크기 10pt, 함초롱바탕
- 5) 문단 모양 : 왼·오른쪽 0.0pt
- 6) 각주 : 글자크기 9pt, 줄간격 130%, 왼·오른쪽 0.0pt, 내어쓰기 13.1pt
- 7) 인용 : 글자크기 9pt, 줄간격 130%, 왼·오른쪽 20.0pt, 내어쓰기 20.0p
원고 작성 방식의 시행일
본 방식은 1988년 1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본 개정 방식은 2024년 7월 6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