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법인연혁

2023

  • 국학강좌

    <국학답사를 위한 사전 자료검토로서의 국학강좌>
    ·대주제: 『사기』 「조선열전」에 대한 온전한 이해
    ·강사: 임찬경 박사(국학연구소 연구원)
      1강) 3월 15일 “조선의 실체와 그 위치”
      2강) 4월 5일 “위만조선의 건국 과정과 그 실체 분석”
      3강) 5월 3일 “패수와 왕험의 위치 분석”

  • 국학답사

    ·주제: 위만조선의 강역과 그 역사적 실체를 찾아!
    ·일시 : 6월 2일~6일(4박 5일)
    ·강사 : 임찬경
    ·참석자 : 김종성, 이윤수, 박동, 이명훈, 이상균, 이승완, 지철, 최경주

  • 국학연구소 이전

    군자동에서 서초동으로 이전

  • 국학연구 27집 출간

2022

  • 국학연구26집 출간
  • 임오교변 단행본 출간

2021

  • 월례국학강좌

    ‘분단극복과 통일’이라는 주제로 어문, 철학, 역사, 정치로 니누어 각1회
    ‘국학인물 탐구’ 2회, ‘코로나 극복과 국학의 역할’ 1회로 4월부터 시행

  • 국학연구25집 발간

    백포 서일 조천 100주년 기념’ 기획논문 4편과 일반논문 2편으로 구성

2020

  • 국학연구자 발굴 장학사업 및 현상논문 공모

    국학연구 진흥과 젊은 국학 연구자를 발굴하기 위해 국학관련 현상논문 공모사업을 시행함
    일반논문- 민속, 역사, 철학 주제 각 1편, 편당 150만원-과 학위논문- 석사학위 1편 200만원, 박사학위 300만원지원-을 모집을 홈페이지에 공고
    공모결과 일반논문에서 철학1편, 역사2편 지원되고 박사학위논문은 1편만 지원됨
    당시 지원한 내용은 아래와 같음
    <박사학위 논문>
    1.이찬희(성균관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졸업)- 대종교의 삼일철학에서 하나와 셋의 의미와 관계 해석
    <일반 논문>
    1. 허우범(인하대대학원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수료) - 여말선초 시기의 서북 국경선 연구
    2. 이재규(성균관대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과정수료) - 다산 심학사상에 나타난 종교적 사유에 관한 연구
    3. 송옥진(인하대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졸업) - 고조선 해상교류의 인식범위 확장, 대전자유적을 중심으로
    심사결과 이찬희의 박사학위 논문과 송옥진의 일반논문이 통과됨
    통과한 논문은 국학연구 24집에 싣기로 하였는데 송옥진 논문만 실음

  • 국학연구 24집 발간

  • 기타

    정영훈 교수님 퇴임으로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국학관련 서적 일부를 연구소에 기증

2019

  • 국학강좌 실시

    ·4월 장일주 - 백암 박은식
    ·6월 신운용 - 성재 이시영
    ·8월 김영수 - 단재 신채호
    ·10월 김병기 - 석오 이동녕

  • 국학답사

    ·주제 : 중국사-중화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여정, 서안에서 낙양을 거쳐 제남까지
    ·일시 : 5월 2일~ 5월 6일(4박5일)
    ·강사 : 임찬경

  • 학술대회

    ·대주제 :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대종교
      11월 5일 광복회강당에서 광복회와 공동주최로 개최

  • 국학연구23집 발간

2018

  • 2018년 월례국학강좌

    ·1월 왜 다시 국학인가:시대적 필요성-김동환
    ·2월 왜 다시 민족주의인가:민족·민족주의 재정립-정수일
    ·3월 동북아 질서의 재편:유라시아의 재발견-이병
    ·4월 국학과 언어:말이 곧 얼이다-박용규
    ·5월 국학과 동학:수운의 포덕천하-주요섭
    ·6월 국학과 단군:홍암의 국망도존-신운용
    ·7월 국학과 국사(1):고대사 논쟁-임찬경
    ·8월 국학과 국사(2):현대사 논쟁-임영태
    ·9월 국학과 정치:삼균주의와 다사리주의-정영훈
    ·10월 국학과 통일:동학·국학과 민족통일-김치관
    ·11월 민족주의의 미래:민족주의 동향과 전망-강철구
    ·12월 국학의 세계화:구심이 곧 원심이다-김동환

  • ‘국학연구소 30년의 회고와 전망’ 학술대회
  • ‘발해연안의 한국 고대사:위만조선과 고구려 초기 역사’ 국학답사

2017

  • 2017년 월례국학강좌

    ·홍산문명의 역사적 주체
    ·사진으로 보는 홍산문화

  • ‘홍산문화와 고구려 유적’ 국학답사

2016

  • 국학강좌-임찬경

    ·1강 우리민족 근원으로서의 부여, 그 건국 주체와 초기 강역
    ·2강 부여와 탁리국, 건국 초기와 그 주변의 민족관계
    ·3강 부여와 고구려의 같음과 다름
    ·4강 부여와 백제
    ·5강 부여와 중원 국가들의 정치 및 문화 교류를 통해 본 부여의 국제적 위상

  • ‘우리민족의 출발점 부여 역사’ 국학답사

2013

  • 2013년 월례국학강좌

    ·1월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신운용
    ·3월 환산 이윤재의 독립운동- 박용규
    ·4월 우천 조완구와 대종교-이민원
    ·5월 홍산문화와 우리민족 종교문화의 원류-임찬경
    ·6월 희산 김승학의 생애와 사상- 김병기
    ·7월 산운 장도빈의 생애와 역사관 – 김동환
    ·8월 기자조선과 그 후예들- 김종택
    ·9월 식민사관의 역사적 배경- 이주한
    ·12월 우덕순의 민족운동과 국권회복 이후의 활동- 신운용

  • 국학연구 17집 발간

    ·[기획논문] 대종교 성지 청파호 연구 2편
    ·[일반논문] 한중 전통사상 관련 4편

2012

  • 2012년 월례국학강좌

    국학의 현실과 이해, 국학의 시대적 필요성, 국학의 학문적 범주
    국학의 내용적 실재, 국학의 일반적 속성, 국학의 학문으로서의 위상
    국학과 역사(1) (2) (3) (4), 국학과 어문학, 국학과 수행

  • ‘백포 서일의 현재적 의미’ 학술대회
  • 국학연구 16집 발간

2011

  • 2011년 월례국학강좌

    상반기(1~ 6월): 《삼일신고》 6회 강사: 최윤수
    하반기(7~12월): 『수산집』《동사》「고조선,기자조선,삼한본기,후조선본기」6회 강사: 임찬경
    대종교와 공동협약으로 <청호프로젝트> 진행

  • 국학연구 15집 발간
  • 알소리 10호 발간

2010

  • 1월 전 이영재 이사장 별세
  • 2010년 월례국학강좌

    ·1월 고조선은 실재했다 – 성삼제
    ·2월 한국상고시대 주요교섭사례와 그 의미검토 – 박선식
    ·3월 한국의 선도사관과 유교사관 – 정경희
    ·4월 일제식민사관은 극복되었는가 – 박성수
    ·5월 한국근대사학에 대한 몇가지 검토 – 박걸순
    ·6월 한국사를 보는 눈- 김병기
    ·7월 매국과 친일세력- 김병기
    ·8월민족주의자 신명균의 삶과 활동- 박용규
    ·9월 윷판이야기- 임채우
    ·10월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의 오류와 그 위험성- 류병균
    ·11월 산서 섬서지역의 동이유적- 임찬경
    ·12월 국학강좌 회고와 전망 – 서굉일(예정)

  • 2010년 6월 알소리 9호 발간 – 치우천왕편
  • 2010년 7월 학술대회 주관 – ‘동북아문화의 이해를 위하여’
  • 2010년 12월 국학연구 14집 발간

2009

  • 2009년 월례국학강좌

    ·2,3월 우리에게 만주는 무엇인가?Ⅰ- (1),(2) 박환 교수 : 항일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4,5월 우리에게 만주는 무엇인가?Ⅱ- (1),(2) 서굉일 교수 : 한민족 역사공간로서의 만주
    ·6,7월 우리에게 동이는 무엇인가? – (1),(2) 임찬경 박사 : 고조선의 원류로서의 동이
    ·8,9월 우리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 (1),(2) 김상일 교수 : 한사상과 삼일철학을 중심으로
    ·10,11월 우리에게 정치는 무엇인가? – (1),(2) 정영훈 교수 : 단군민족주의를 중심으로
    ·12월 우리는 무엇으로 사는가? – 이광규 교수 : 한국, 한국인, 한국 문화에 대하여

  • 2009년 5월 단군교포명서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2009년 11월 알소리 8호 발간 – 중광 100주년 기념편
  • 2009년 12월 국학연구 13집 발간

2008

  • 2008년 3월 이규행(전 문화일보 회장) 신임이사장 취임
  • 2008년 3월 서굉일(한신대학교 교수) 본연구소 소장 취임
  • 2008년 4월 <국학총서>1, 2권 발간

    ·<국학총서>1 : 『배달민족의 역사의식과 사상가들』(한뿌리출판사)
    ·<국학총서>2 : 『우리역사 우리영웅』(한뿌리출판사)

  • 2008년 4월 <알소리> 제006호(수행편) 발간
  • 2008년 6월 서굉일 소장 정년 퇴임
  • 2008년 9월 이규행 이사장 별세
  • 2008년 10월 ‘성세영의 생애와 사상’ 학술회의 개최

    ·장 소 : 한글회관 강당
    ·주최 : (사)국학연구소
    ·대주제 : 성세영의 생애와 사상
    ·발표논문 및 발표자
      사회 / 박환(수원대학교)
      (기조발표)
      성세영《본사행일기》의 독립운동사적 가치:서굉일(한신대학교 교수)
      (주제발표)
      성세영《본사행일기》에 나타나는 인물분석 :황영례([사]국학연구소 연구원)
      성세영《본사행일기》와 관련한 1920년대 대종교 국내활동 : 김동환([사]국학연구소)
      《천조단군》에 나타나는 성세영의 역사의식에 대한 연구 : 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성세영 소장본에 나타나는 경전류에 대한 비교분석 : 유영인([사]국학연구소 연구원)

  • 2008년 12월 <국학연구>제12집 발간

2007

  • 2007년 1월 10일 <알소리> 제004호(아!고구려) 발간
  • 2007년 3월 31일 대구·경북지부개소식(경산 하양 무학산)

    ·지부장 : 황영례 박사(영천교육청 장학사)
    ·고문 : 조원경 박사(하양감리교회 담임목사)

  • 2007년 9월 <알소리> 제005호(단군편)발간
  • 2007년 10월 이규행 고문이 소장한 국학관련서적 2만 권 기증 받음

2006

  • 2006년 6월 24일 정기학술회의(고구려연구재단 지원)

    ·대주제 : 근대민족의식에 관한 연구
    ·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사회(서굉일: 한신대학교 교수)
      근대 한민족 대황조 사상의 출현과 전개(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박은식의 역사의식과 대동사관(박걸순: 충북대학교 교수)
      근대제천의례를 통해 본 민족정체성 연구(이욱: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근대 민족종교에 나타난 민족의식(유영인: 국학연구소 연구원)

  • 2006년 7월 15일 <알소리> 제001호(국학편) 발간
  • 2006년 8월 1일 <알소리> 제002호(독립운동편) 발간
  • 2006년 8월 15일 <알소리> 제003호(종교편) 발간
  • 2006년 12월 30일 ‘國學硏究’ 11집 발간

2005

  • 2005년 3월 5일 법인서류 제출->3월 25일 허가, 4월 1일 통보
  • 2005년 3월 20일 이규행 고문 소장 국학관련 서적 1만권 기증 받음
  • 2005년 4월 2일 본 연구소 19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본연구소 사무실
    ·강사 : 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대주제 : 겨레의 천신 하느님 신앙

  • 2005년 12월 27일 ‘國學硏究’ 10집 발간

2004

  • 2004년 1월 30일 ‘國學硏究’ 8집 발간

    [‘국학연구’ 8집 수록논문 및 자료]
    – 기획논문(단암 이용태의 생애와 사상) –
    단암 이용태의 사회개혁사상(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단암 이용태와 독립운동(이동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원)
    단암 이용태의 종교사상(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 일반논문 –
    물리학에 나타나는 삼일원리(최윤수: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기독교에서의 민족사상 이해(유영인: 국학연구소 연구원)
    신교사상의 문화사적 고찰(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 자료 –
    「要視察外國人擧動關係雜簒-韓國人ノ部」8중 나철 관련기사
    「나철-장지연 서신자료」(1911)
    항일독립투사 湖山 朴明鎭의 遺稿

  • 2004년 2월 27일 MBC 3.1절 특집 ‘이제는 말할 수 있다-독립운동의 대부 홍암 나철편’, 본연구소 자료자문기관으로 선정
  • 2004년 5월 23일 본 연구소 17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본연구소 사무실
    ·강사 : 조준희
    ·대주제 : 북촌 취운정에 대한 고찰(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 2004년 9월 11일 ‘제2회애국지사단암이용태선생추모학술회의’ 주관

    ·모인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주최 : 단암기념사업회
    ·대주제 : ‘형제 독립투사의 생애와 사상’
      [개별주제]
      단암 이용태의 漢詩연구(김헌선: 경기대학교 교수)
      해방 전후 단암 이용태의 정치사상(오영섭: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단암 이용태의 윤리사상(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이용준의 생애와 항일독립투쟁(이동언: 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원)

  • 2004년 9월 18일 본 연구소 18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본연구소 사무실
    ·강사 : 유영인(국학연구소 연구원)
    ·대주제 : 민족 고유의 생태이론

  • 2004년 10월 13일 울산MBC 한글날 특집 ‘외솔 최현배’, 본 연구소 자료자문기관으로 선정
  • 2004년 10월 16일 – 10월 19일까지 일본방문

    1. 訪問目的
    (1) 조선사연구회 학술회의 참가
    (2) 일본 국학에 대한 현황 조사 (와세다대학, 도쿄대학, 국립박물관 외) (3) 고구려유적 답사
    2. 訪問期間
    2004년 10월 16일 – 19일(3박 4일)
    3. 參加人員(총 6명)
    이영재(국학연구소이사장), 유영인(국학연구소연구원), 오영섭(연세대학교교수), 조준희(국학연구소연구원), 구은정(국학연구소회원),
    김동환(국학연구소연구위원), 현지합류, 삿사미츠아키(게이오대학교강사), 김도원(재일귀금속협회사무국장)

  • 2004년 11월 13일 ‘2004추계학술회의’ 개최

    ·모인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주최 : 국학연구소
    ·후원 : 국학운동시민연합
    ·대주제 : ‘국학 4인의 생애와 사상’
    ·발표논문 및 발표자
      (사 회 : 김호일-국학연구소장/ 중앙대학교 교수)
      국학 4인 학술회의의 시대적 의미(이규행: 국학연구소 고문)
      단애 윤세복의 국학운동(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예관 신규식의 종교사상과 민족독립운동(佐佐充昭: 리츠메이칸대학 교수)
      석농 유근의 항일민족운동과 사상(김명섭: 강남대학교 교수)
      육당 최남선과 단군사상(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2003

  • 2003년 4월 본 연구소 15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본연구소 사무실
    ·강사 : 조준희(국학연구소 연구원)
    ·대주제 : 신교사상의 문화사적 고찰

  • 2003년 9월 6일 ‘애국지사단암이용태선생추모학술회의’ 주관

    ·모인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주최 : 단암기념사업추진회
    ·대주제 : ‘단암 이용태의 생애와 사상’
      [개별주제]
      단암 이용태의 사회개혁사상(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단암 이용태의 독립운동(이동언: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책임연구원)
      단암 이용태의 종교사상(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 2003년 9월 15일 본 연구소 사무실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85번지

  • 2003년 12월 27일 본 연구소 16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본연구소 사무실(안국동 85번지)
    ·강사 : 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유영인(국학연구소 연구원)
    ·대주제 : 물리학에 나타나는 삼일원리(최윤수), 기독교에서의 민족사상 이해(유영인)

2002

  • 2002년 3월 8일 본 연구소 13차 정례학술 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중구문화원
    ·강사 : 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대주제 : 우리 겨레의 천신 신앙

  • 2002년 10월 본 연구소 14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석촌동 소재 홍익문화통일협회 회의실
    ·강사 :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대주제 : 홍익인간사상에 대한 철학적 논구

  • 2002년 12월 ‘國學硏究’ 제7집 발간

    [국학연구 7집 수록논문 및 자료]
      – 기획논문(삼신사상에 대한 제고찰) –
      삼신사상의 종교적 고찰(이은봉: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삼신사상의 철학적 고찰(민영현: 부산대학교 겸임교수)
      신사상의 조직론적 해석(이강식: 경주대학교 교수)
      삼신신앙의 문화적 고찰(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 일반논문 –
      발해의 농업 발달과 그 원인(방학봉: 연변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사회의 종교적 문제점(안병로: 선문대학교 강사)
      우리 겨레의 천신 신앙(최윤수: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홍익인간사상의 철학적 논구(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 자료소개 –
      현진건의《단군성적순례》

2001

  • 2001년 3월 본 연구소 11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조준희(국학연구소 연구원)
    ·주제 : 대한광복회 연구

  • 2001년 8월 ‘홍암 나 철 선생 선양 학술회의’ 주관

    ·모인장소 : 전남 보성 판소리 서편제전수회관
    ·주최 : 보성문화원
    ·대주제 : 홍암 나 철 선생의 생애와 사상

  • 2001년 9월 본 연구소 12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중구문화원
    ·강사 : 박중훈(固軒硏究會 연구원)
    ·주제 : 固軒 박상진의 생애와 항일투쟁활동

  • 2001년 11월 ‘韓?中學術會議’ 주관

    ·모인장소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
    ·주최 : 종학연구원, 연변대학교조선역사연구소
    ·대주제 : 일제 하 만주지역에서의 항일운동

  • 2001년 12월 ‘國學硏究’ 6집 발간

    [국학연구 6집 수록논문 및 자료]
    – 일반논문 –
    발해의 토지제도(방학봉: 연변대학교 명예교수)
    홍암 나 철의 사상과 현대적 의의(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固軒박상진의 생애와 항일투쟁활동(박중훈: 固軒硏究會 연구원)
    근대 항일운동의 정신적 배경(김동환: 국학연구소 연구원)
    대한광복회 연구(조준희: 국학연구소 연구원)
    – 자료 –
    義勇實記(華史 李觀求)

2000

  • 2000년 3월 ‘國學硏究’ 5집 발간

    [국학연구 5집 수록논문 및 자료]
    – 기획논문(백산 안희제의 사상) –
    일제시기 안희제의 기업활동과 경제운동(오미일:부산외대 교수)
    백산 안희제의 중외일보를 통한 항일언론(정진석:한국외대언론대학원장)
    안희제의 교육구국운동(이동언: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단군신앙과 안희제(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 일반논문 –
    참전계경소고(방건웅: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한말 신채호사학의 정치적 성격(정영훈:정신문화연구원 교수)
    – 자료 –
    李 儁 先生 遺稿(韓國魂復活論)

  • 2000년 4월 ‘國學硏究’ 5집 발간 기념 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중구문화원
    ·강사 : 이동언(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김동환(본 연구소 연구원)
    ·주제 : 안희제의 교육구국운동(이동언),단군신앙과 안희제(김동환)

1999

  • 1999년 3월 ‘기유중광 90주년 기념 학술회의’ 주관

    ·모인장소 : 중앙일보 연수실
    ·주최 : 월간중앙
    ·발표논문 및 발표자
      홍암 나 철의 생애와 사상(이동언: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무원 김교헌의 생애와 업적(조항래:전 숙명여대 교수)
      백포 서 일의 생애와 사상(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단애 윤세복의 생애와 사상(김종성:국학연구소 연구원)
      배달민족 삼법수행의 도맥적 고찰(이규행:중앙일보 고문)

  • 1999년 7월 본 연구소 9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관훈동 본 연구소 회의실
    ·강사 : 방건웅(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주제 : 참전계경소고

  • 1999년 12월 본 연구소 10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관훈동 본 연구소 회의실
    ·강사 : 정영훈(한국학중앙 연구원 교수)
    ·주제 : 한말 신채호사학의 정치적 성격

1997~
  1998

  • 1998년 3월 본 연구소 8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중구문화원
    ·강사 :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주제 : 박은식 민족사학의 정신적 배경

  • 1998년 5월 “國學硏究‘ 4집 발간

    [국학연구 4집 수록논문 및 자료]
    – 기획논문(민족사학의 정신적 배경) –
    김교헌 민족사학의 정신적 배경(김정신:전 정신문화연구원 교수)
    단재 신채호사학의 정신적 배경(이현희:성신여대 명예교수)
    박은식 민족사학의 정신적 배경(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원)
    – 일반논문 –
    21세기를 향한 단군운동의 과제(정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고조선 삼한조직의 삼국으로의 계승(이강식: 경주대학교 교수)
    삼일신고와 참전계경에서의 삼일원리(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 자료 –
    자료1 : 고투사십년(이극로자서전)
    자료2 : 배달족역사(김교헌 校閱)

  • 1998년 6월 ‘國學硏究’ 4집 발간 기념 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한국일보 에머럴드 룸
    ·강사 : 이강식(경주대 교수) 정영훈(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주제 : 고조선 삼한조직의 삼국으로의 계승(이강식 교수), 21세기를 향한 단군운동의 과제(정영훈 교수)

  • 1997년 10월 본 연구소 7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최윤수(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주제 : 삼일신고와 참전계경에서의 삼일원리

1989~
  1996

  • 1996년 6월 ‘일본 속의 한국문화 탐방’에 대한 연수강연회 개최

    ·모인장소 : 한국관광공사 강연회장
    ·강사 : 윤명철(현 동국대 교수) 정규훈(총신대 교수)
    ·후원 : 한국관광공사

  • 1990년 3월 본 연구소 6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이강식(경주대 교수)
    ·주제 : 고조선 역년 2096년과 삼한조직의 새로운 이해

  • 1990년 6월 ‘國學硏究’ 3집 발간

    [국학연구 3집 수록논문]
    – 기획논문(한국사상의 조명) –
    동서사상에 있어서의 인간과 신(이상익:육군사관학교 교수)
    조선 후기 종교사상의 논리와 실제(정규훈:총신대 교수)
    고조선 역년 2096년과 삼한조직의 새로운 이해(이강식:경주대 교수)
    – 일반논문 –
    남북 역사학의 비교를 통한 공질성 회복(윤명철:동국대 교수)
    당·발해의 전개와 국제정세(임상선:고구려연구회 연구원)
    치타 한족공산당의 실체와 성격 분석(이 탁:삼균학회 연구원)
    임화 詩 연구(김정석:창원대 교수)
    우리 나라 제례복식의 연구(이종민:영서대 교수)
    평양 구제궁의 성격과 그 분석(이도학:전통문화학교 교수)
    – 특별기고논문 –
    홍범도 연구(강용권:연변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 번역논문 –
    遼寧高句麗山城初探[陳大爲(지병목:문화재연구소 연구원)

  • 1990년 7월부터 만 6년 동안 ‘국학운동의 생활화’를 기치로 내세우고 ‘현장국학교실’ 및 ‘고적답사’를 매월 시행함
    (1997년 3월까지 ‘국학고적답사교실’을 42회 진행하였으며, 참가 연인원은 900여 명에 달함)
  • 1989년11월 본 연구소 5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윤명철(동국대 교수)
    ·주제 : 남북 역사학의 비교를 통한 공질성 회복

1988

  • 1988년 2월 본 연구소 2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위원)
    ·주제 : 己酉重光의 民族史的 意義

  • 1988년 3월 본 연구소의 논문집인 ‘國學硏究’ 창간호 발간

    [국학연구 창간호 수록논문]
    – 연구논문 –
    한국철학의 현대적 과제(정종복:충북대학교 교수)
    檀君尊崇思想의 민족사적 의미(이현희: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의병전쟁의 민족사적 의의(박성수:정신문화연구원 교수)
    檀君과 근대 민족주의사학(이도학:전통문화학교 교수)
    己酉重光의 민족사적 의의(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위원)
    해방 후 한국사회의 변동과 민족주의 존립구조(이종영:在佛學者)

  • 1988년 5월 본 연구소 3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정규훈(총신대 교수)
    ·주제 : 국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 1988년 8월 본 연구소 4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유영희(고려대 민족문화원 연구교수)
    ·주제 : 近代民族宗敎의 眞理觀 小考

  • 1988년 9월 2일 본 연구소의 논문집 제목인 '國學硏究' 題字를 서예대가 '여초 김응현 선생'으로부터 받음

  • 1988년 10월 본 연구소의 논문집인 ‘國學硏究’ 2집 발간

    [국학연구 2집 수록논문]
    – 기획논문(국학연구의 회고) –
    한말 自强史學에 대하여(윤명철:동국대 교수)
    사상분야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회고(정규훈:총신대 교수)
    – 일반논문 –
    고구려의 낙동강유역 진출과 신라?가야 경영(이도학:전통문화학교 교수)
    화서 이항로의 척사위정론에 대한 철학적 해석(윤용남:성신여대 교수)
    近代民族宗敎의 眞理觀 小考(유영희:고려대 민족문화원 연구교수)
    무오독립선언의 역사적 의의(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위원)
    在滿 韓人文學 硏究(김헌선:경기대 교수)
    – 史論 –
    역사활동에 나타나는 ‘운동성’ 문제(윤명철:동국대 교수)
    – 書評 –
    沸流百濟와 일본의 국가기원(이도학:전통문화학교 교수)

  • 1988년 11월 7일 ‘國學硏究’ 2집 발간기념회 개최

    ·모인장소 : 프레스센터 대회의실

1986~
  1987

  • 1987년 11월 본 연구소 1차 정례학술발표회 개최

    ·모인장소 : 서대문구 신문로 한글회관
    ·강사 : 이종영(현 성공회대학교 강사 )
    ·주제 : 해방 후 한국사회의 변동과 민족주의 존립구조

  • 1986년 11월 8일, 1970년대 후반부터 古典講讀이나 歷史講座의 강의 경청을 위해 꾸준히 만나던 소장학자들이,
    ‘우리 민족의 학문적 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연구단체설립을 추진키로 함

    ·모인장소 :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다방
    ·참석자 : 정영훈(現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이종영(現 성공회대학교 강사), 윤명철(現 동국대학교 교수), 김동환(現 국학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