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 목적 및 목표 국학의 바탕인 우리 민족의 문학·역사·철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1. 국학논문의 효율적 발간2. 국학논리의 체계적 확립3. 국학이론의 대중적 보급4. 국학자료의 지속적 발굴 Ⅱ. 세부사업 내용 1. 연구출판활동 (1) [ 제1사업명: 논문집『국학연구(國學硏究)』발간 ] 가. 목적 : 학계학자와 지식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전문적인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 나. 사업내용 : 국학과 밀접한 문학, 역사, 철학 등의 전문학자들의 논문을 중심으로 선정 발굴하여 수록함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월례발표회를 통해 엄선된 논문과 국학자료를 발굴하여 논문집으로 엮음 라. 기타사항 : 발간 시기는 현행 연1회에서 향후 연 2회(6월과 12월) 발간 함 마. 향후계획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형식적 학술등재기준에 맞추지 않고 보다 논문의 질을 높이고자 독자적으로 진행 (2) [ 제2사업명 – 국학총서 시리즈 발간 ] 가. 목적 : 국학과 관련된 고전을 발간함으로써, 국학의 체계적 복원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학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선인들의 문헌 중에서 우리의 문학이나 역사 혹은 철학적 내용의 고전을 선정함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한문 원본을 영인본으로 싣고 한글 해설본, 그리고 해제를 함께 엮기로 함 라. 기타사항 : 발간일시는 매년 출판사와 협의함 (*도서출판 한뿌리와 계약) 마. 향후계획 : 앞으로 매년 한 권 이상 씩 발간함으로써, 국학과 관련의 특화된 시리즈를 완성해 갈 것임 2. 학술활동 (1) [ 제3사업명 – 정례학술발표회 ] 가. 목적 : 정례학술발표를 통하여 국학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 나. 사업내용 : 대학 강사 혹은 연구기관 연구원 이상의 전문적 지식을 가진 학자들을 중심으로 꾸며지는 국학 관련된 전문학술발표회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전문연구자의 주제발표와 토론자의 토론형식을 취함 라. 기타사항 : 매 격월(1/3/5/7/9/11월) 셋째주 금요일 오후 7시에 개최 마. 향후계획 : 월례발표회 발표횟수를 늘림 (2) [ 제4사업명 – 국학상설강좌개최 ] 가. 목적 : 본연구소 회원들과 일반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보급하기 위함 나. 사업내용 : 일반 교양인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국학교양강좌의 내용으로 꾸며짐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각 방면의 전문가가 매회 분량의 주제를 설정하여 강의 라. 기타사항 : 매월 셋째주 수요일 오후 7시, 본 연구소에서 진행 마. 향후계획 : 우리 교양사회의 대표적인 국학강좌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해 교재 개발을 진행시켜 갈 것임 (3) [ 제5사업명 – 국학학술심포지움개최 ] 가. 목적 : 국제화시대에 걸맞는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를 진단함으로써, 살아있는 국학, 개방적인 국학의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 보고자 함 나. 사업내용 : 대주제를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로 잡고, 우리 역사 속에서 국학 분야에 업적이 있는 인물들 선별한 후, 대주제와 관련하여 개별주제를 정하기로 함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선정된 국학인물의 권위학자 4인의 발표와 개별토론 그리고 종합토론의 형식을 취함 라. 기타사항 : 마. 향후계획 : 매년 인물중심의 국학전문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국학논리의 체계적 정리를 추구해 갈 것임 3. 학술답사활동 (1) [ 제6사업명 – 국학답사활동 ] 가. 목적 : 국학문화에 대한 역사의 현장을 찾아 체계적인 정리를 함으로써, 국학연구의 질을 진일보시키고 생활국학의 계기를 만들기 위함 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현장을 직접 찾아 자료조사 및 정리하는 현장연구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국학과 관련 깊은 지역을 선정 답사하여 현장도록, 사진, 비디오 자료를 만들고 보고서를 엮음 라. 기타사항 : 상하반기로 나누어 상반기(5월)과 하반기(10월) 두 번에 걸쳐 당일 혹은 1박 2일 일정으로 시행 마. 향후계획 : 향후 본연구소 회원뿐만이 아니라, 국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국학의 관심을 고양시키고 국학의 대중화를 위한 꾀하고자 함 4. 자료조사활동 (1) [ 제7사업명 – 국학자료발굴사업 ] 가. 목적 : 채 정리되지 않은 일제강점기 국학자료들을 중점 발굴함으로써, 부족한 근대사 국학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나. 사업내용 : 근대에 발간된 정기간행물들(신문·잡지 등)의 내용 중, 국학과 관련하여 미정리된 내용들을 집중 발굴함 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본 연구소와 관련 있는 학자들(대학교수·연구기관의 연구원·석/박사과정생)을 중심으로 분기별 세미나 형식을 취해, 분기별로 정리 함 라. 기타사항 : 매년 4분기로 나누어 연중 지속적으로 시행함 마. 향후계획 : 근대 자료정리를 시작으로 시대별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국학자료들을 정리할 예정임 메뉴타이틀: Ⅰ. 사업 목적 및 목표국학의 바탕인 우리 민족의 문학·역사·철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1. 국학논문의 효율적 발간2. 국학논리의 체계적 확립3. 국학이론의 대중적 보급4. 국학자료의 지속적 발굴Ⅱ. 세부사업 내용1. 연구출판활동(1) [ 제1사업명: 논문집『국학연구(國學硏究)』발간 ]가. 목적 : 학계학자와 지식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전문적인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밀접한 문학, 역사, 철학 등의 전문학자들의 논문을 중심으로 선정 발굴하여 수록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월례발표회를 통해 엄선된 논문과 국학자료를 발굴하여 논문집으로 엮음라. 기타사항 : 발간 시기는 현행 연1회에서 향후 연 2회(6월과 12월) 발간 함마. 향후계획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형식적 학술등재기준에 맞추지 않고 보다 논문의 질을 높이고자 독자적으로 진행(2) [ 제2사업명 – 국학총서 시리즈 발간 ]가. 목적 : 국학과 관련된 고전을 발간함으로써, 국학의 체계적 복원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학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선인들의 문헌 중에서 우리의 문학이나 역사 혹은 철학적 내용의 고전을 선정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한문 원본을 영인본으로 싣고 한글 해설본, 그리고 해제를 함께 엮기로 함라. 기타사항 : 발간일시는 매년 출판사와 협의함 (*도서출판 한뿌리와 계약)마. 향후계획 : 앞으로 매년 한 권 이상 씩 발간함으로써, 국학과 관련의 특화된 시리즈를 완성해 갈 것임2. 학술활동(1) [ 제3사업명 – 정례학술발표회 ]가. 목적 : 정례학술발표를 통하여 국학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대학 강사 혹은 연구기관 연구원 이상의 전문적 지식을 가진 학자들을 중심으로 꾸며지는 국학 관련된 전문학술발표회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전문연구자의 주제발표와 토론자의 토론형식을 취함라. 기타사항 : 매 격월(1/3/5/7/9/11월) 셋째주 금요일 오후 7시에 개최마. 향후계획 : 월례발표회 발표횟수를 늘림(2) [ 제4사업명 – 국학상설강좌개최 ]가. 목적 : 본연구소 회원들과 일반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보급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일반 교양인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국학교양강좌의 내용으로 꾸며짐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각 방면의 전문가가 매회 분량의 주제를 설정하여 강의라. 기타사항 : 매월 셋째주 수요일 오후 7시, 본 연구소에서 진행마. 향후계획 : 우리 교양사회의 대표적인 국학강좌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해 교재 개발을 진행시켜 갈 것임(3) [ 제5사업명 – 국학학술심포지움개최 ]가. 목적 : 국제화시대에 걸맞는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를 진단함으로써, 살아있는 국학, 개방적인 국학의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 보고자 함나. 사업내용 : 대주제를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로 잡고, 우리 역사 속에서 국학 분야에 업적이 있는 인물들 선별한 후, 대주제와 관련하여 개별주제를 정하기로 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선정된 국학인물의 권위학자 4인의 발표와 개별토론 그리고 종합토론의 형식을 취함라. 기타사항 :마. 향후계획 : 매년 인물중심의 국학전문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국학논리의 체계적 정리를 추구해 갈 것임3. 학술답사활동(1) [ 제6사업명 – 국학답사활동 ]가. 목적 : 국학문화에 대한 역사의 현장을 찾아 체계적인 정리를 함으로써, 국학연구의 질을 진일보시키고 생활국학의 계기를 만들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현장을 직접 찾아 자료조사 및 정리하는 현장연구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국학과 관련 깊은 지역을 선정 답사하여 현장도록, 사진, 비디오 자료를 만들고 보고서를 엮음라. 기타사항 : 상하반기로 나누어 상반기(5월)과 하반기(10월) 두 번에 걸쳐 당일 혹은 1박 2일 일정으로 시행마. 향후계획 : 향후 본연구소 회원뿐만이 아니라, 국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국학의 관심을 고양시키고 국학의 대중화를 위한 꾀하고자 함4. 자료조사활동(1) [ 제7사업명 – 국학자료발굴사업 ]가. 목적 : 채 정리되지 않은 일제강점기 국학자료들을 중점 발굴함으로써, 부족한 근대사 국학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근대에 발간된 정기간행물들(신문·잡지 등)의 내용 중, 국학과 관련하여 미정리된 내용들을 집중 발굴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본 연구소와 관련 있는 학자들(대학교수·연구기관의 연구원·석/박사과정생)을 중심으로 분기별 세미나 형식을 취해, 분기별로 정리 함라. 기타사항 : 매년 4분기로 나누어 연중 지속적으로 시행함마. 향후계획 : 근대 자료정리를 시작으로 시대별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국학자료들을 정리할 예정임 Ⅰ. 사업 목적 및 목표국학의 바탕인 우리 민족의 문학·역사·철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1. 국학논문의 효율적 발간2. 국학논리의 체계적 확립3. 국학이론의 대중적 보급4. 국학자료의 지속적 발굴Ⅱ. 세부사업 내용1. 연구출판활동(1) [ 제1사업명: 논문집『국학연구(國學硏究)』발간 ]가. 목적 : 학계학자와 지식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전문적인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밀접한 문학, 역사, 철학 등의 전문학자들의 논문을 중심으로 선정 발굴하여 수록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월례발표회를 통해 엄선된 논문과 국학자료를 발굴하여 논문집으로 엮음라. 기타사항 : 발간 시기는 현행 연1회에서 향후 연 2회(6월과 12월) 발간 함마. 향후계획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형식적 학술등재기준에 맞추지 않고 보다 논문의 질을 높이고자 독자적으로 진행(2) [ 제2사업명 – 국학총서 시리즈 발간 ]가. 목적 : 국학과 관련된 고전을 발간함으로써, 국학의 체계적 복원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학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선인들의 문헌 중에서 우리의 문학이나 역사 혹은 철학적 내용의 고전을 선정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한문 원본을 영인본으로 싣고 한글 해설본, 그리고 해제를 함께 엮기로 함라. 기타사항 : 발간일시는 매년 출판사와 협의함 (*도서출판 한뿌리와 계약)마. 향후계획 : 앞으로 매년 한 권 이상 씩 발간함으로써, 국학과 관련의 특화된 시리즈를 완성해 갈 것임2. 학술활동(1) [ 제3사업명 – 정례학술발표회 ]가. 목적 : 정례학술발표를 통하여 국학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대학 강사 혹은 연구기관 연구원 이상의 전문적 지식을 가진 학자들을 중심으로 꾸며지는 국학 관련된 전문학술발표회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전문연구자의 주제발표와 토론자의 토론형식을 취함라. 기타사항 : 매 격월(1/3/5/7/9/11월) 셋째주 금요일 오후 7시에 개최마. 향후계획 : 월례발표회 발표횟수를 늘림(2) [ 제4사업명 – 국학상설강좌개최 ]가. 목적 : 본연구소 회원들과 일반인들에게 국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보급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일반 교양인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국학교양강좌의 내용으로 꾸며짐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각 방면의 전문가가 매회 분량의 주제를 설정하여 강의라. 기타사항 : 매월 셋째주 수요일 오후 7시, 본 연구소에서 진행마. 향후계획 : 우리 교양사회의 대표적인 국학강좌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해 교재 개발을 진행시켜 갈 것임(3) [ 제5사업명 – 국학학술심포지움개최 ]가. 목적 : 국제화시대에 걸맞는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를 진단함으로써, 살아있는 국학, 개방적인 국학의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 보고자 함나. 사업내용 : 대주제를 국학연구의 방향과 좌표로 잡고, 우리 역사 속에서 국학 분야에 업적이 있는 인물들 선별한 후, 대주제와 관련하여 개별주제를 정하기로 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선정된 국학인물의 권위학자 4인의 발표와 개별토론 그리고 종합토론의 형식을 취함라. 기타사항 :마. 향후계획 : 매년 인물중심의 국학전문학술회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국학논리의 체계적 정리를 추구해 갈 것임3. 학술답사활동(1) [ 제6사업명 – 국학답사활동 ]가. 목적 : 국학문화에 대한 역사의 현장을 찾아 체계적인 정리를 함으로써, 국학연구의 질을 진일보시키고 생활국학의 계기를 만들기 위함나. 사업내용 : 국학과 관련된 현장을 직접 찾아 자료조사 및 정리하는 현장연구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국학과 관련 깊은 지역을 선정 답사하여 현장도록, 사진, 비디오 자료를 만들고 보고서를 엮음라. 기타사항 : 상하반기로 나누어 상반기(5월)과 하반기(10월) 두 번에 걸쳐 당일 혹은 1박 2일 일정으로 시행마. 향후계획 : 향후 본연구소 회원뿐만이 아니라, 국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참여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국학의 관심을 고양시키고 국학의 대중화를 위한 꾀하고자 함4. 자료조사활동(1) [ 제7사업명 – 국학자료발굴사업 ]가. 목적 : 채 정리되지 않은 일제강점기 국학자료들을 중점 발굴함으로써, 부족한 근대사 국학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나. 사업내용 : 근대에 발간된 정기간행물들(신문·잡지 등)의 내용 중, 국학과 관련하여 미정리된 내용들을 집중 발굴함다. 시행방법 : * 관련사항 – 본 연구소와 관련 있는 학자들(대학교수·연구기관의 연구원·석/박사과정생)을 중심으로 분기별 세미나 형식을 취해, 분기별로 정리 함라. 기타사항 : 매년 4분기로 나누어 연중 지속적으로 시행함마. 향후계획 : 근대 자료정리를 시작으로 시대별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국학자료들을 정리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