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학연구, Vol.28 (2024)
pp.1~36
- 신규식과 대종교(2) - 대종교와 관련된 시 번역 -
이 글은 신규식(1880-1922) 의 『아목루』에 실린 시 중에서 대종교 관련 시를 해석하고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신규식의 대종교와 관련된 시는 먼저 대종교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규식은 대종교 종리부장을 역임하였기 때문에 교리에 밝았다. 그는 대종교의 교리인 삼신이 하나이고 그것이 단군임을 믿었고, 단군을 모신 천궁을 세워 날마다 기도를 하였다. 삼진을 통해 신인합일이 되는 수양공부를 하였다. 다음은 나철과 관련성이다. 그는 대종교를 창시한 나철과 깊은 관계를 가졌 다. 나철과 관계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그의 인생 후반부 전부를 쏟아 붓게 하였다. 나철은 만주에서, 신규식은 상해에서 서로 지역은 달랐지만 뜻을 같이 하였고, 죽음의 형식도 나철과 같은 자결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것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신규식의 시를 읽고 이해할 수 없다. 또 대종교를 이해해야만 신규식을 이해할 수 있다. 신규식은 나철이 대종교를 중광할 때, 선교하러 만주로 떠날 때, 만주에서 교당을 건립할 때, 이적을 행할 때, 구월산 삼성사에서 자결할 때 모든 행적을 시로 읊었다. 그에게 나철은 생명의 은인이며 단군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나철의 자결을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에 견주고 나철의 선교 어려움을 석가의 어려운 깨달음에 비견하였다.
Shin, Kyu-sik and Daejonggyo(2) -translate the poems relate with the Daejonggyo by Shin, Kyu-sik.
This article intends to translate the poems relate with the Daejonggyo by Shin, Kyu-sik. First Shin, Kyu-sik is understand through Daejonggyo theory. He believed that the three gods, the doctrine of Daejonggyo, were one and that it was Dangun, and he built a heavenly palace that enshrined Dangun and prayed every day. Second, He wrote poetry about Na, Cheol's deeds when he majored in Daejonggyo, when he left for Manchuria for missionary work, when he built a church in Manchuria, when he performed a miracle, and when he committed suicide at Samseongsa Temple in Guwolsan. To him, Na, Cheol was regarded as a life saver and the embodiment of Dangun. Na, Cheol's self-determination was compared to Jesus' crucifixion, and Na, Cheol's missionary difficulties were compared to Shakya's difficult realization. He studied cultivating to become a rookie unity through strikeout, and revealed that he had no original guilt in Christianity. Shin, Kyu-sik thought that a new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identity standard of Dangun. This was also reflec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one can understand the new ritual only by understanding Daejonggyo. Building a nation-state centered on Dangun was the historical task of this period and the aspirations of independence activists.